반응형

Mercedes 49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해서 - 1부 (LG전자 webOS)

정확히 언제였는지 기억도 안난다. 한 10년쯤 전인가.. LG전자 CTO 산하 멀티미디어 연구소로 입사해서 블루레이 플레이어 및 이런저런 제품을 개발하고 있던 시절. 연구소 이름이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소로 바뀌고 이제 플랫폼에 집중하겠다라고 했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 이름은 지금도 그대로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소로 남아 있고 webOS 기반으로 플랫폼 관련된 일을 계속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다. 처음에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무엇일까? 그 당시 어린 (?) 개발자에게는 이해도 안가고 너무 추상적인 개념 갔았다. 아직도 기억이난다. 황정환 연구소장님이 플랫폼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려고 노력했던 모습을.. 기억을 되새겨 보자면 플랫폼이란 다른 일들을 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것이고 백화점을 예를 들어..

Development 2023.05.28

인포테인먼트 리눅스 개발 이미지

차량용 ECU가 다양한 형태로 통합되고 있다. Domain Architecture, Zonal Architecture 등 다양한 용어의 ECU 아키텍처가 등장하고 각 자동차 회사 (OEM)마다 각자의 설계에 맞게 진행하고 있다. 확실한건 ECU 수가 줄어들고 있고 그만큼 하나의 ECU 내에서 소프트웨어 복잡도도 증가하고 있다. 지금 여기서 이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고 현재 인포테인먼트를 개발하고 곧 양산을 하는데 이 중에서 리눅스 부분만 떼어서 어떤 종류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어떤 종류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는지를 간단하게 적으려고 한다. Mercedes에서는 인포테인먼트를 MB.OS의 큰 축 중 하나로 보고 있고 다음 개발을 연속적으로 하기 위해 Product Platform도 함께 가지고 가고 ..

Automotive 2023.05.16

벤츠 차량용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 통합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네비게이션이다. 하지만 OEM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개발해 탑재된 네비게이션의 품질은 좋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나 한국에서는 TMAP이나 카카오, 다른 나라에서는 Google MAP을 스마트폰으로 켜서 운전 중 네비게이션으로 많이들 사용한다. 차량에서 아이폰의 CarPlay나 Android Auto를 지원하면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차량의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면서 말이다. 최근 많은 자동차 업체들이 한국에서 TMAP을 내장 네비게이션으로 탑재하기 시작했고 벤츠에서도 탑재를 하기로 결정했다. 독자적인 네비게이션을 탑재할 만큼 벤츠도 한국이 중요한 시장이라는 것을 인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오래전부터 계획을 했었고 벤츠코리아에서 많은 노력을 한 결과 결정이 되..

Automotive 2023.05.11

Mercedes-Benz 첫 In-house IVI 양산 과정

지난주 Mercedes-Benz E Class 풀체인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필자는 간단히 이 내용에 대해 글을 썼었다. 오늘은 Mercedes-Benz가 In-house IVI 첫 양산을 하기까지의 간단한 여정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 글을 써보기 위해 노트북을 열었다. 이 여정의 시작은 2017년도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7년 그 당시 이름 Daimler는 MBition (Mercedes-Benz Innovation Lab.)을 오픈하기로 결정을 한다. 이때는 몇명이 안되는 직원들로 시작을 했다. 이때는 회사를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과 인원을 확충하는 전략을 취하던 시기였다. 2019년 3월 필자가 합류를 했고 이 당시 약 200명의 개발자와 Supplier들이 함께 먼 미래에 양산을 하기 위한 준..

Automotive 2023.04.30

Mercedes-Benz 첫 In-house IVI 양산

어제 Mercedes-Benz에서 풀체인지 신형 E 클래스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신기술이 들어가 있고 MBition (Mercedes-Benz Innovation Lab)에서 주도하여 개발한 In-house Infotainment가 탑재되어 있다. New E Class Video 내년 출시 모델로 현재 SOP(Start Of Production) 및 다음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엄청나게 푸시를 받으며 버그를 고치고 있다. 이 첫 In house 개발 SW는 벤츠에 큰 이정표를 세웠고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17년에 몇명이서 설립한 MBition (Mercedes Benz Innovation Lab)이 필자가 합류한 2019년에는 200명 남짓 그리고 지금은 독일 베를린의 인원과 ..

Automotive 2023.04.27

MBRDI (Mercedes Benz R&D India) 출장 후기

현재 MBRDI 에 있는 팀과 함께 SCM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업무를 1년째 진행하고 있다. 처음에 인도팀에 PO 1명으로 시작해 현재는 10명이 넘는 팀을 꾸렸고 이번 기회에 Berlin 팀원 5명정도가 함께 2023년 1월 25일부터 2월 2일까지 인도 방갈로에 있는 MBRDI 에 방문을 했다. MBRDI 위치: https://goo.gl/maps/nXAWaSmjLdP6pxBi7 Mercedes-Benz Research & Development India · Plot No. 5-P, 1, Whitefield Main Rd, near Satya Sai Baba Hospital, EPIP Zone, Hood ★★★★★ · 연구 및 제품 개발 www.googl..

Travel 2023.04.25

Automotive Industry Trend (자동차 산업 동향)

10월 18일 독일 베를린 도이치텔레콤 허브라움에서 한양대 MOT 독일 연수오신 분들께 현재 자동차 산업 동향에 대해 한시간 반정도 소개를 했다. 각기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이라 독일 3사 현황을 CASE (Connectivity, Autonomous, Shared, Electric) 기반으로 발표를 했다. 최근 현대자동차에서 발표한 각 계층의 Platform (Vehicle Platform, E/E Architecture, Software Platform, Data Platform) 전략이 너무 잘 정리되어 있어서 3분정도 보여줬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전체 동영상을 보면 큰 그림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Connectivity 파트에서는 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것들이 네트워..

Automotive 2023.04.23

한국 회사 탐방기 (2021년 여름)

2021년 여름 약 1달동안 휴가를 한국에서 보내면서 지인이 일하는 회사에 방문해서 구경하고 나눴던 이야기를 토대로 간단히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 Nota AI - http://nota.ai Nota Hardware-aware AI optimization and edge AI solutions www.nota.ai 대표님과 아는 개발자가 있어 처음으로 방문을 해보았다. 선릉역 근처에 있고 대전, 독일 베를린, 미국에 각각 지사가 있는 AI 모델 경량화 기술을 가지고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하고 있는 전도 유망한 스타트업이다. NVIDIA, ARM 등 SoC 개발에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회사와 협업을 하고 있고 NetsPresso라는 MLops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가 아닌 온보드에서 AI 기술을..

Etc 2023.04.23

차량용 IVI 개발 환경

LG TV에 들어가는 webOS에 들어가는 Software Platform을 개발했을 때는 개발 보드 하나면 충분했다. 가끔 LG VS (Vehicle Solution)의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려고 개발 환경을 보기도 했다. 항상 차량용 개발시에는 장비가 많이 없는 없는 것이 이해가 안갔다. 하지만 돌아보니 복잡한 차량용 장비 및 계속 바뀌는 HW Tier 1의 영향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차량용 IVI에는 하나의 SoC가 아닌 여러 개의 SoC가 탑재 된다. 그리고 고급 모델에는 Rear seat display 와 같은 고급 사양이 더 들어가 추가적인 SoC가 들어가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차량은 IVI만이 아닌 여러 ECU와 통신을 하기 때문에 Telematic 등 여러 ..

Automotive 2023.04.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