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23

The Art of Command Line

The Art of Command Line은 Linux에서 사용하는 Command Line의 기초에 대해 정리해 놓은 프로젝트이다. 각 언어별로 있으니 시간날 때 한번 훓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Linux를 시작하는 초보자부터 많이 사용하는 개발자들에게도 정말 유용하다. 한글도 있다 :) Repository: https://github.com/jlevy/the-art-of-command-line GitHub - jlevy/the-art-of-command-line: Master the command line, in one page Master the command line, in one page. Contribute to jlevy/the-art-of-command-line development by..

Linux 2023.04.20

[도서] Embedded Linux Systems with the Yocto Project 리뷰

Embedded Linux System with the Yocto Project 이 책은 지금까지 나온 Yocto 책 중에 가장 자세하게 잘 설명되어 있는 책이다. 하지만 Yocto를 시작하는 개발자들에게는 무리가 있을 수 있으니 "Yocto 프로젝트를 활용한 임베디드 리눅스 개발" 책을 보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이 책의 저자 Rudi는 Linux Foundation의 Yocto training 코스를 만들었고 필자도 4년전에 들은 적이 있다. 지금은 Jaguar에서 architect로 일하고 있고 Yocto와 Embedded Linux 대해서 상당히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필자가 이 책의 번역 제의를 받았지만, 분량이 방대하여 일단 안하고 있지만 다시 생각하고 있다. 한다면 내년 한해를 ..

Book 2023.04.20

Yocto Project Developer Day EU 2016 참석 후기

Yocto Project Developer Day 소개 ELCE (Embedded Linux Conference Europe) 2016이 시작되기 하루전 같은 장소(독일 베를린)에서 Yocto Project Developer Day가 열렸다. 매년 2번 ELC, ELCE에 붙여서 하루를 진행한다. 올해도 Intro와 Advanced 두개로 나누어서 진행을 했고 필자는 Advanced에 참석을 했다. Advanced에는 주로 새로운 기능들에 대한 소개 및 고급 기술(?) 들에 대해 소개한다. 중요한 것은 Yocto를 지원하는 개발보드를 주는데 올해는 Intel Minnowboard Turbot, Beaglebon Black, Qualcomm Dragonboard 410c 중 한 개를 선택할 수 있었고, 작..

Yocto 2023.04.20

Yocto Project, OpenEmbedded를 지원하는 개발 보드

Yocto Project의 OpenEmbedded를 지원하는 개발 보드에 대해서 알아본다. 필자가 가지고 있는 보드는 Raspberry Pi2, Beaglebone Black, MinnowBoard MAX, Wandboard Quad이다. 참고로 Yocto Project Developer Day에 가면 Beaglebone Black, MinnowBoard MAX, Wandboard Quad 3개 중에 1개를 선택해서 참석자들에게 관련 악세서리와 함께 준다. OpenEmbedded의 layer들이 있는 http://layers.openembedded.org/layerindex/branch/master/layers/에 가서 BSP로 filter해 보면 BSP 관련 meta layer들이 나온다. 하지만 모두..

Yocto 2023.04.19

ELCE(Embedded Linux Conference Europe) 2015 참석 후기

작년 ELCE 2014 (독일 뒤셀도르프)에 이어 ELCE 2015 (아일랜드 더블린)에 참석했다. ELC(3월)는 봄에 미국에서 한번, 가을(10월)에 유럽에서 한번 1년에 두번 열리는 것 같다. 내년에 ELC 2016은 미국 샌디에고, ELCE 2016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게 된다. 등록은 빨리할수록 싸고, 하지만 너무 비싸다. 이번에는 최고 $1025까지 받았다. 학생들에게는 $200,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300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너무 비싸서 약간 욕을 먹기도 했다. 원래 점심식사도 주는데 이번엔 안줬다 ㅠㅠ. 그리고 Google IO와 같이 선물을 크게 주는 것도 아니고, 단지 티셔츠 한장.. ㅠㅠ 이게 다다. ELCE는 가장 큰 컨퍼런스 중에 하나 일 듯 싶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

Development 2023.04.19

(Review) Learning Embedded Linux Using the Yocto Project

간단히 이 책에 대한 소개를 이전 글에서 했었다. 이번 여름 휴가 중에 이 책을 다 읽었고, 후기를 적어 보고자 한다. 현재 Yocto관련 다음과 같이 4권의 원서가 출시가 되었다. 4권중 마지막으로 읽은 책이였고, 다음 글에서 각 책에 대한 비교를 해보고자 한다. Embedded Linux Development with Yocto Project (July 2014) Embedded Linux Projects Using Yocto Project Cookbook (March 2014) Using Yocto Project with BeagleBone Black (June 2015) Learning Embedded Linux Using the Yocto Project (July 2015) 기본적으로 이 책은 ..

Book 2023.04.19

[Book] Learning Embedded Linux Using the Yocto Project

Yocto Project에 대한 출시된 또 한권의 책이다. 334 pages로 이 책은 Embedded Linux를 Yocto Project를 가지고 배울 수 있도록 한 책으로 보인다. 이전에 소개한 Embedded Linux Projects using Yocto Project Cookbook과 많은 부분이 겹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여유가 있으면 두 권을 다 보면 좋겠지만, 둘 중 한권만 봐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된다. 필자는 Cookbook은 이미 다 본 상태이고, 이 책은 금일 구매하여 지금 배송중에 있다. 오면 바로 전에 소개 했던 Begalebone 책과 함께 읽을 예정이다. 마찬가지로 좋은 내용이 있으면 이 블로그에 정리할 예정이다. 간단한 목차와 소개는 https://www.packtpub...

Book 2023.04.18

Yocto Project Developer Day EU 2015

Yocto Project에서는 1년에 약 2회 Developer Day를 개최 한다. 보통 Embedded Linux Conference US (3월 경 샌프란시스코)와 EU (10월 경 유럽) 행사가 끝난 다음날 하루 종일 개최한다. 필자는 작년 Yocto Project Developer Day EU 2014에 참석했고, 올해도 가능하면 참석할 예정이다. 아직 2015에 대한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https://www.yoctoproject.org/tools-resources/events/yocto-project-developer-day-eu-2015 에서 곧 announce 할 예정이다. 올해도 3월에 샌프란시스코에서 하는 ELC US 2015에는 참석하였으나, 업무 일정상 Yocto Dev. Da..

Yocto 2023.04.18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바이너리 유틸리티

바이너리 유틸리티는 바이너리를 조작하거나 정보를 위한 프로그램들의 모임을 말하고 이런 유틸리티 들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한다. 이 글 또한,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 책 7장에 나온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addr2line: 바이너리 파일에서 특정 주소가 어떤 파일의 어떤 라인인지 보여줌 c++filt: C++/Java 심볼 문자열을 맹글링 되기 전 문자열로 보여줌 gprof: 프로파일 정보 출력 nm: ELF 포맷 오브젝트 파일의 심볼을 보여줌 objcopy: 오브젝트 파일의 복사 / 변환 objdump: 오브젝트 파일을 업프하거나 역어셈할 때 사용 ranlib: 정적 라이브러리 내에 인덱스를 생성할 때 사용 readelf: ELF 포맷의 오브젝트 파일 정보를 보여줌 size: 오브젝트 ..

Linux 2023.04.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