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EMU 5

QNX 가상 머신 이미지 생성 및 실행 (QEMU + mkqnximage 활용법)

QNX는 실시간 운영체제(RTOS)로, 자동차,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QNX 가상 머신 이미지를 만들어 QEMU에서 실행하는 전체 과정을 소개한다. 실습 중심으로 따라 할 수 있게 정리했으며, mkqnximage 명령어를 활용한다. 실습 환경QNX SDP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 8.0 버전QEMU: x86 타겟 호스트 OS: Ubuntu 24.04이미지 생성 도구: mkqnximageQNX SDP 8.0 평가판 버전을 무료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은 2025.03.07 - [Automotive] - 비상업적 용도를 위한 QNX SDP 8.0 무료 라이선스 글을 참고하면 된다. mkqnximage 소개 mkqnximage 명령어는 Q..

Development 2025.04.07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2

2025.03.11 - [Development] -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1 에서 QNX 8.0 무료 라이선스를 받는 방법을 알아보고 QNX Software Center를 다운로드를 해 보았다. 그 이후 라즈베리파이4  QNX 이미지를 받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 이미지를 SD Card에 넣고 실제 부팅까지 해보려고 한다. 라즈베리파이4에 QNX 8.0 OS 올리기 #1이전 블로그 글에서 QNX SDP 8.0을 무료 라이선스를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QNX SDP 8.0 라즈베라파이 용 OS (운영체제)를 받아서 실행해보도록 한다. 아래 순서대로 하면 방법www.yocto.co.kr  SD Card에 이미지 굽기 https://www.raspberrypi...

Development 2025.03.16

Virtual ECU (가상 ECU)

https://yocto.tistory.com/309 에서 "SDV 개발에서 HW/SW Decoupling" 주제로 간단히 글을 써봤다. 핵심은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와 분리해서 개발을 하는 환경을 구현해서 빠르게 개발을 하면서 테스팅 하는 것이다.배경점점 차량용 소프트웨어의 복잡도와 크기가 커져가면서 통합과 테스트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더불어 많은 ECU가 작은 개수의 고성능 ECU 통합되면서 하드웨어의 Cost가 비싸져서 많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개발하기도 큰 부담이 있다. 초기 보드 Bringup의 시간도 많이 들어 빠른 릴리스와 개발을 요구하는 요즘과 같은 경쟁 시대에 그동안 기능 개발을 놓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Virtual ECU (vECU)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고 대부분 ..

Automotive 2025.01.10

Yocto oeqa image test

Yocto 프로젝트에서는 CI와 연동하여 QEMU에서 자동화 테스트를 할 수 있는 image test framework인 oeqa를 제공을 한다. 이 테스트는 ssh를 통해 타깃 시스템에서 실행이 되고 테스트 스크립트를 파이썬으로 작성이 된다. 이 테스트의 구현 사항은 testimage.bbclass에 구현이 되어 있다. 위의 그림은 Yocto QEMU 이미지 빌드후 QEMU를 실행하는 과정이다. Yocto 자동화 테스트를 하려면 테스트 환경 설정 및 테스트 케이스를 파이썬 스크립트로 작성해야 한다. 테스트 케이스 구현 테스트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lib/oeqa/runtime/cases 에 위치를 한다. Poky의 테스트 케이스를 참고하려면 다음 링크를 가서 하나씩 살펴보면 된다. 아래 예제는 conn..

Yocto 2023.09.13

M1 Macbook에서 Yocto 빌드 환경 설정 2부 (네트워킹)

Macbook에서 Docker를 이용한 Yocto 빌드 환경 설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https://yocto.tistory.com/158 에서 소개하였다. 이 글에서는 Yocto 빌드 후 생성된 qemu 이미지를 docker 환경 내에서 실행하여 docker host 환경과 실행된 qemu 내부의 shell 간의 네트워킹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TUN/TAP (https://en.wikipedia.org/wiki/TUN/TAP) 환경을 root유저로 만들어서 실행을 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docker 환경 내이고 쉽게 테스트를 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qemu를 실행할 때 user networking 환경인 slirp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전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실행은..

Yocto 2023.05.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