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퍼바이저 4

Virtual ECU (가상 ECU)

https://yocto.tistory.com/309 에서 "SDV 개발에서 HW/SW Decoupling" 주제로 간단히 글을 써봤다. 핵심은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와 분리해서 개발을 하는 환경을 구현해서 빠르게 개발을 하면서 테스팅 하는 것이다.배경점점 차량용 소프트웨어의 복잡도와 크기가 커져가면서 통합과 테스트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더불어 많은 ECU가 작은 개수의 고성능 ECU 통합되면서 하드웨어의 Cost가 비싸져서 많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개발하기도 큰 부담이 있다. 초기 보드 Bringup의 시간도 많이 들어 빠른 릴리스와 개발을 요구하는 요즘과 같은 경쟁 시대에 그동안 기능 개발을 놓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Virtual ECU (vECU)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고 대부분 ..

Automotive 2025.01.10

QNX 유용한 명령어 (Command)

QNX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거나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옵션들을 보고 싶으면 QNX 사이트 https://www.qnx.com/developers/docs/8.0/com.qnx.doc.neutrino.utilities/topic/about.html 를 참고하기 바란다.기본 명령어1. pidin: 시스템의 프로세스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pidin ar 2. slogger2: 시스템 로그 메시지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3. slog2info: 시스템 로그를 표시한다. 4. use: 특정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표시한다. 5. pci: PCI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6. devb-: 블록 I/O 드라이버를 실행한..

Development 2024.07.27

Mixed Criticality System (혼합 중요도 시스템)

“Mixed Criticality”는 주로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작업들이 동일한 시스템에서 동시에 실행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 개념은 특히 항공기, 자동차, 의료 장비 등 안전이 중요한 분야에서 많이 이야기 된다. 주요 특징 1. 작업의 중요도 (Criticality Level): 시스템 내의 각 작업은 특정 중요도 수준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브레이크 제어는 높은 중요도 (high criticality)를 가지지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낮은 중요도 (low criticality)를 가진다. 2.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높은 중요도의 작업이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

Automotive 2024.07.11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Type1, Type2 차이

차량용 ECU 아키텍처가 분산 아키텍처에서 중앙집중형, 도메인, Zonal 아키텍처로 움직이고 있다. OEM 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목적은 작은 수십/수백개의 ECU를 성능 좋은 수/수십개로 줄이는 것이다. 하드웨어 비용을 줄이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을 조금 더 자유롭고 편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ECU 하나에 들어있는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는 늘어나고 각기 다른 기능을 위한 OS도 하나의 ECU에 여러개가 서로 고립되면서 돌아가야 한다. 이 때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을 사용한다. 하이퍼바이저 쪽 전문가는 아니지만 최근 프로젝트를 하면서 Type1, Type2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구분 및 장단점 그리고 전 가상화 (Full Virtualization)와 반 가상화 (Para ..

Development 2023.08.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