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5

QNX 가상 머신 이미지 생성 및 실행 (QEMU + mkqnximage 활용법)

QNX는 실시간 운영체제(RTOS)로, 자동차,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QNX 가상 머신 이미지를 만들어 QEMU에서 실행하는 전체 과정을 소개한다. 실습 중심으로 따라 할 수 있게 정리했으며, mkqnximage 명령어를 활용한다. 실습 환경QNX SDP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 8.0 버전QEMU: x86 타겟 호스트 OS: Ubuntu 24.04이미지 생성 도구: mkqnximageQNX SDP 8.0 평가판 버전을 무료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은 2025.03.07 - [Automotive] - 비상업적 용도를 위한 QNX SDP 8.0 무료 라이선스 글을 참고하면 된다. mkqnximage 소개 mkqnximage 명령어는 Q..

Development 2025.04.07

make[5]: /bin/sh: Argument list too long 에러 해결

"Argument list too long" 오류는 명령줄 인수가 시스템의 제한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 이는 빌드 과정에서 너무 많은 파일이나 옵션이 명령에 전달될 때 자주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리눅스 시스템에서 인수 제한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야기해본다.리눅스에서는 다음과 같이 /etc/security/limits.conf 제일 하단에  아래 두 줄을 추가한 후 재부팅하여 제한을 증가시킬 수 있다.* hard stack 65536* soft stack 65536

Linux 2024.09.03

[번역] Embedded Linux Development Using Yocto Project 3판

작년 3월 아주 간단하게 https://www.yocto.co.kr/180 에서 Embedded Linux Development Using Yocto Project 3판에 대한 도서리뷰를 진행했다. 이후 출판사와 이야기하여 2023년 6월에 번역을 진행하기로 합의하고 연말까지 번역을 완료하기로 했다. 생각보다 2판에 비해 수정사항이 많아서 작지만 번역료는 처음부터 번역하는 가격과 동일하게 진행하기로 했다. 원래는 수정부분에 대한 페이지별로 번역료가 책정되지만 이 경우는 많은 부분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고, 일부 장은 추가되기도 해서 그렇게 진행하기로 에이콘 출판사와 합의를 했다. 최종 번역 초안은 12월 중순에 출판사에 전달하였고 그 뒤로 자잘하게 1-2번 수정을 했다. 초안이 전달되고 정산일인 1..

Book 2024.08.07

The Art of Command Line

The Art of Command Line은 Linux에서 사용하는 Command Line의 기초에 대해 정리해 놓은 프로젝트이다. 각 언어별로 있으니 시간날 때 한번 훓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Linux를 시작하는 초보자부터 많이 사용하는 개발자들에게도 정말 유용하다. 한글도 있다 :) Repository: https://github.com/jlevy/the-art-of-command-line GitHub - jlevy/the-art-of-command-line: Master the command line, in one page Master the command line, in one page. Contribute to jlevy/the-art-of-command-line development by..

Linux 2023.04.20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바이너리 유틸리티

바이너리 유틸리티는 바이너리를 조작하거나 정보를 위한 프로그램들의 모임을 말하고 이런 유틸리티 들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한다. 이 글 또한,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 책 7장에 나온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addr2line: 바이너리 파일에서 특정 주소가 어떤 파일의 어떤 라인인지 보여줌 c++filt: C++/Java 심볼 문자열을 맹글링 되기 전 문자열로 보여줌 gprof: 프로파일 정보 출력 nm: ELF 포맷 오브젝트 파일의 심볼을 보여줌 objcopy: 오브젝트 파일의 복사 / 변환 objdump: 오브젝트 파일을 업프하거나 역어셈할 때 사용 ranlib: 정적 라이브러리 내에 인덱스를 생성할 때 사용 readelf: ELF 포맷의 오브젝트 파일 정보를 보여줌 size: 오브젝트 ..

Linux 2023.04.18
728x90
반응형